PlayData 백엔드 부트캠프 정리

PlayData 백엔드 부트캠프 Start 21,22일차

효건 2024. 9. 9. 21:33

한주 50km 첼린지와 기타 혼자 여러가지 하다가 체력관리를 제대로 못해서몸살감기에 걸린날이였습니다. 그래서 목요일에 복귀해서 쓰지못했고 금요일에는 진짜로 아무것도 못하고 누워만 있는 하루였습니다. 그래서 주말에도 계속 골골대느라 스킵하려 했지만 너무중요한것이 많아 진행합니다..... 

<백준 2720번>

package baekJoon.bronze.bronze_3;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B_272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f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eger K = Integer.parseInt(bf.readLine());
        for (int i = 0; i < K; i++) {
            Integer a = Integer.parseInt(bf.readLine());
            int Q;
            int T;
            int N;
            int P;
            if (a % 25 == 0) {
                Q = a / 25;
                T = 0;
                N = 0;
                P = 0;
            } else {
                if ((a % 25) % 10 == 0) {
                    Q = a / 25;
                    T = (a % 25) / 10;
                    N = 0;
                    P = 0;
                } else {
                    if (((a % 25) % 10) % 5 == 0) {
                        Q = a / 25;
                        T = (a % 25) / 10;
                        N = ((a % 25) % 10) / 5;
                        P = 0;
                    } else {
                        Q = a / 25;
                        T = (a % 25) / 10;
                        N = ((a % 25) % 10) / 5;
                        P = ((a % 25) % 10) % 5;
                    }
                }
            }
            System.out.println(Q + " " + T + " " + N + " " + P);

        }
    }
}

 

1.함수표현식과 화살표 함수

  1. 일급객체
    1. 일급 객체는 자바에서 무명메서드와 비슷하게 작용한다. 다시말해 지역(?) 메서드같은 느낌이다.
    2. 일급객체는 무명의 리터럴과 매개변수전달, 반환값사용의 조건이 있는데 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만족한다.
      function add(n1, n2) {
        return n1 + n2;
      }
  1. 화살표함수
    1. 화살표함수는 자바에서 람다식 변형과 비슷하게 간단하게 사용하는 함수이다. 
const add2 = (n1, n2) => {
return n1 + n2;
  };

2. 콜백함수

  1. 콜백함수란 간단히 생각하면 함수에서 나온 산출물을 다시 가공하거나 할당할수있다는 것이다. 
    -> 맞다 아직 100프로 이해가 안되서 이것저것 해보면서 알아야 할것같다.

3. 배열고차함수

  1. 배열 고차 함수란 배열에서 사용하는 콜백 함수를 받는 함수.이다. 다시말해 콜백함수를 이용하여 배열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다시 필터링 과정을 할수있는 것을 말한다. -> 맞다 아직 100프로 이해가 안되서 이것저것 해보면서 알아야 할것같다

6.DOM과 사용가능한 명령어  

 document.getElementById('id'); --> 를 통해 id를 매개변수로 가져올수있다.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ap'); 를 통해 class역시 매개변수로 가져올수있다. 
 
  document.querySelector('.ap'); 를통해 요소를 찾을 수있다 .
  
  위에 것에서 조회하여 자식노드를 가져올수있다 .여기서 가족노드란 하부사항의 특징들을 가져올수있다는 것이다.
  
  document.createElement를 통해 요소를 만들수있다. 또 
 .textContent를 통해 내용을 추가할 수도 있다.
 
 
 .addEventListener 를통해 실제 이벤트가 발생한 요소를 지정하여 이벤트 발생요소를 지정할수있따.
 
       $ul.addEventListener('click', (e) => {
        console.log('ul의 클릭 이벤트 발생!');
      });
      위와 같이 쓰면 클릭 이벤트를 발생시킬수있다.